관리 메뉴

청담BS한의원 유현정 원장의 한의 피부과학 이야기

여름철 습진 피부관리 주의점 본문

피부질환 한의학 이야기 /습진 이야기

여름철 습진 피부관리 주의점

화우음양 2022. 5. 13. 10:00

습진은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화폐상 습진, 한포진, 접촉 피부염, 주부습진 등을 포함하는 진단명입니다. 

워낙 광범위한 까닭에 피부질환으로 고생하신다고 하시는 분들중에 습진 질환을 앓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습진은 환자분의 체력, 스트레스, 수면, 피로, 음주 등의 개인적인 요소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고 악화되기도 하지만,

이 외에도, 계절적 요인에 의해 악화되거나 호전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봄을 지나 점차 여름으로 가고 있는 요즘 계절에는, 습진 질환에 대해 어떤 관리가 필요할까요?

 

 

1. 여름이라는 계절이 피부 습진 질환 회복에 좋은 점도 있습니다. 

 여름이 되면, 겨우내 말라있던 나무 껍질이 점차 부드러워지고 가지들에 여린 잎들이 새로 올라오고 점차 잎사귀가 무성해집니다. 나무의 껍질부위까지, 가지끝에 달린 잎사귀까지 흐르는 기운의 흐름이 늘어나는 계절입니다. 

이는 사람도 마찬가지여서, 날이 더워지면서 피부와 손발의 말단조직으로 가는 기운 순환이 점차 늘어나고, 그 형태로 피지분비와 땀분비가 늘어나면서, 피부는 좀더 부드러워지고, 기운의 회복이 좋아집니다. 이러한 과정 중에서 기존 습진질환이 회복하는데 좋은 요소로 작용하게 됩니다. 

 

2. 여름이라는 계절이 피부질환에 좋지 않은 요소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여름이 되면, 주변의 온도가 오르면서 체온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상승한 체온은 조절하기 위해서 열기는 피부로 발산하게 되는데, 이 때 피부에 열이 발산되거나, 땀이 나게 되면, 병든 피부, 특히 진물이 나거나, 가려운 피부, 붉은 피부 병변에서는 더 쉽게 가려움을 느끼거나 열감을 느끼게 됩니다.

일부 늦은 수면, 음주, 스트레스 등이 겹칠 경우 진물이 더 많아지거나 균열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요소로 인해 긁을 경우, 2차적 손상으로 인해 회복되던 피부가 심하게 손상되거나, 

발적이나. 가려움이 더 심해지기도 하여, 피부증상을 좀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세균감염이 좀더 쉽게 나타나서 쉽게 지나갈 수 있는 피부질환이 2차 감염으로 심하게 진행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생활습관과 피부에 대한 관리입니다. 

 

1. 더워서 지치기 쉬운 여름에는 체력 관리가 필요합니다. 

 차가운 음식을 자주 또는 많이 먹으면, 위장 기능이 저하되어 체력이 저하되어 피부 회복을 더디게 하거나 때로는 회복되던 피부증상을 좀더 진행시키기도 합니다. 

또한 여름에는 낮의 길이가 길고 덥다 보니 다른 계절에 비해 야외 활동량이나, 신체 활동량이 많아져서 자신의 체력보다 무리하게 일을 하거나 즐기는 경우가 많아 쉽게 피로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소화기 장애나 피로, 늦은 수면 또는 스트레스 등은 체력을 저하시켜 피부로 가는 기혈의 순환에 영향을 주게 되어, 피부 질환의 회복을 늦추기 쉽습니다.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식사, 12시가 넘지 않는 수면시간 관리를 통해 체력을 관리하는 것은 체력과 피부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2. 더위, 땀, 열 등으로 가려움이 심해진 경우,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우선 피부에 열감이나 가려움가 나타나거나 땀분비가 늘어난 경우, 우선 분비된 땀은 깨끗이 닦아내고 열감이나 가려운 부위는 냉찜질이나 선풍기 등을 이용하여 시원하게 하여 긁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열감이나 땀분비로 인한 자극만 줄어도 가려움이 훨씬 덜 느껴지기 때문에 이로 인한 2차적인 손상을 줄이기 쉬워집니다. 만약에 찬물로 열기를 식힌다면, 샤워기나 수도꼭지의 수압에 의해 균열이 있던 피부가 더욱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물이 닿은 후 피부가 건조해졌는지 살펴 보습제나 한의 연고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성 피부질환은 관리가 치료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슷한 상태로 오신 같은 증상을 가진 같은 성별의 환자분이라고 하여도, 음주, 수면, 스트레스, 긁는 정도, 식습관, 소화기 상태 등에 따라 회복속도가 현격히 차이가 나는 경우도 관찰됩니다. 

만성 재발성 피부질환이라면,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적합한 개인별 한약처방이 필요하며, 동시에 환자분 각각의 취약한 생활습관 요인을 관리하면서 치료하신다면, 빠르게 회복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만성 피부질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건강한 아름다움, 청담BS한의원이 함께 하겠습니다. 

언제라도 문의주세요. 

http://bs.haniw.com/index.php

 

피부과질환 여드름치료 안산 청담BS한의원 다이어트 한방 한의원

 

bs.haniw.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