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안산 아토피 피부염 한의원
- 고잔동 다이어트 한의원
- 안산 고잔동 피부질환 한의원
- 안산 피부과
- 안산 한방 피부과 전문의
- 고잔동 습진 한의원
- 안산피부과한의원
- 안산 화폐상습진 한의원
- 안산 두드러기 한의원
- 안산 한포진 한의원
- 안산 피부질환 야간진료
- 안산알레르기피부염한의원. 안산건선한의원
- 안산 피부과 한의원 야간진료
- 안산피부 야간진료. 안산습진
- 고잔동 한포진 한의원
- 안산 다이어트 한의원
- 안산 사마귀 한의원
- 안산 피부질환한의원
- 안산 한의 안 이비인후 피부과 전문의 한의원 야간진료
- 안산야간진료한의원. 안산여드름 야간진료. 피부질환한의원
- 안산 습진 한의원
- 안산 야간진료 한의원
- 고잔동 여드름 한의원
- 안산 피부과 한의원
- 안산 피부질환 한의원
- 고잔동 야간진료 한의원
- 안산 안면홍조 한의원
- 안산 여드름 한의원
- 안산 한방피부과 전문의
- 안산 피부과한의원
- Today
- Total
청담BS한의원 유현정 원장의 한의 피부과학 이야기
겨울, 습진 아토피 피부염이 심해지는 시기 본문
안녕하세요 청담BS한의원입니다.
요즘처럼 영하 10도를 넘나드는 날씨가 되면, 피부질환 중에 심해지는 증상들이 있습니다.
겨울이라는 특성상, 피부표면으로 가는 기혈의 흐름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렇기도 하지만,
그 중에서도 건조해서 오는 피부질환들은 특히 악화되기 쉬워집니다.
겨울날씨에서 느껴지는 차갑고 건조한 기후,
그리고 실내에서 하는 난방으로 인한 건조함으로 인해 건조함으로 야기된 피부질환이라면,
더욱 쉽게 영향을 받습니다.
건조해서 시작되는 피부질환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흔히 가장 많이 들어보는 습진이 대표적입니다.
습진은 한때 피부염과 혼동될 정도로 자주 발생되는 흔한 진단명이었는데요.
이는 습진의 범위가 아주 넓기 때문입니다.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원발성 접촉성 피부염, 내인성 습진, 건성 습진, 지루성 피부염, 한포진, 화폐상습진 등이 모두 이에 속하며,
이 중에서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내인성 습진, 건성 습진, 화폐상 습진 등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미 앓고 계시다면 주변환경의 건조함과 추운 날씨는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겨울철에는 습진 외에도 동계소양증(겨울에 나타나는 가려움증), 노인성 소양증 등이 심화될 수 있으며,
신경성 피부염(가려움을 주소로 하는 경우)이나, 만성 단순 태선, 건선도 일부 심화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러한 질환들은 겨울에 심화되는 걸까요?
우리 몸의 혈관은 크게 동맥과 정맥으로 이루어지며, 동맥으로 각 조직과 피부에 보내진 혈액은 정맥을 통해 되돌아오게 됩니다.
정맥계통과 동맥계통이 크게 다른 점은 목과 팔다리의 주요 정맥은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입니다.
이 부위의 동맥은 피부 밑의 깊은 곳에 위치하여 뼈와 동맥으로 둘러싼 연조직의 보호를 받는데 비하여
정맥은 하나는 얕고 하나는 깊은 이중의 말초 정맥으로 이루어져 있어 체온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즉, 더운 환경에서는 정맥혈은 얕은 정맥으로 흘러 열 손실을 발생하게 하지만,
겨울과 같은 추운 환경에서는 깊은 정맥으로 흘러 열 손실을 최소하하게 합니다.
- 마티니 핵심 해부생리학 5판 p 385 참조 -
한의학에서 혈액의 흐름은 기운의 흐름과 연관이 있습니다.
혈액의 흐름이 피부 표면으로 원활하지 않다면, 이에 따라 피지배출도 원활하지 않고 피부 표면도 외부 찬 기운에 의해 쉽게 차가워져서 모공도 쉽게 닫히게 됩니다.
이러한 결과 피부는 점차 건조해지고, 일부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아이들은 겨울만 되면 모공이 항진되어 피부가 닭살처럼 오돌토돌하게 만져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건조함이 시작되면, 이제 피부는 건강함을 잃기가 쉬워집니다.
피부가 건조해지면 쉽게 가려워지고, 반복적인 긁는 행동이 지속되면 피부염증반응이 시작되어 점차 붉어지거나 붓기도 하고, 체력상태에 따라 모공부위에 붉게 항진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가볍게는 여기저기가 가려운 동계소양증, 노인성 소양증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 유전적 요소와 과거에 앓았던 질환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이나 한포진, 화폐상 습진 등이 재발하거나 심화되기도 합니다.
피부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에서는 서양의학적 진단명으로 예후를 참고합니다.
하지만 치료를 위해서는 한의학적으로 기혈음양의 허실과 부족을 살펴 다시 진단하게 됩니다.
환자분마다 타고난 약한 장부, 부족한 기혈음양의 정도를 살피고,
현재 생활하시는 습관 - 수면, 식사, 운동, 스트레스, 사회적 환경 등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합니다.
이러한 진단을 통해 생활습관의 조절과, 내부적 장부와 기혈의 부족을 살펴 균형을 맞추어 간다면,
피부라는 표면에 나타나는 질환은 체내 상태의 회복과 생활관리를 통해 점차 회복하게 됩니다.
만성적이고 재발되는 피부질환, 힘든 점이 많으시지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청담BS한의원에 언제라도 문의주세요.
건강한 아름다움, 청담BS한의원이 함께 하겠습니다.
피부과질환 여드름치료 안산 청담BS한의원 다이어트 한방 한의원
bs.haniw.com
'피부질환 한의학 이야기 > 습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치료되던 피부질환이 갑자기 심해졌을때. (0) | 2021.01.05 |
---|---|
전신 습진, 습진양 피부염의 경과와 관리방법 (4) | 2020.12.22 |
유두습진 사례 : 10대, 20대, 30대에 따른 비교 (0) | 2020.12.09 |
겨울마다 반복되는 손가락 습진과 안면홍조 (0) | 2020.12.02 |
가을철 피부질환 -아토피 피부염, 유두습진, 화폐상습진 관리 (0) | 2020.10.02 |